역대급 파장...사상 초유의 해외직구 금지 소식

2,191,049
0
Published 2024-05-17
2024년 5월 16일 국무조정실에서 공식적으로 KC인증 없는 전자기기는 해외직구 불가하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습니다. 아직 세부적인 정책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해서 판단이 조심스럽기도 하지만, 보도자료에 있는 내용과 제 개인적인 생각을 이야기해 보았습니다.
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


🎵 BGM.
ES_Fast Forward, Puase STEMS INSTRUMENTS - Rebecca Mardal
ES_Pacific Coast Cruisin - DJ DENZ The Rooster
ES_Tasia - Gregory David


⏲️ Timestamps.
00:00 내 밥줄
00:07 오프닝
01:03 국무조정실 보도자료
01:55 대상 제품들
03:20 KC 인증
04:08 KC 인증의 문제점
07:00 KC 인증은 안전한가?
08:14 면세 한도도 낮춘다?


🔖Tags.
#직구제한
#해외직구
#KC인증


💡 Merch.
블랙카우랩스 굿즈를 사고 싶다면?
-abit.ly/blackcowlabs


📨 Business contacts.
itsub@itu

All Comments (21)
  • @pkkim5058
    어떻게 이렇게 조그마한 땅덩어리 나라에서 서민들 못살게 하기 위해 진심인지.....
  • @jeohyna3094
    사실 KC 인증만 받겠다는 건 명백하게 현행법 위반입니다. 왜냐하면 국회비준을 받은 FTA의 경우 헌법 제6조 제1항에 의거해 국내법과 동일한 법 지위를 갖고 있는데 FCC, CE등의 국제 인증을 받지 않겠다는 건 'IECEE에 따른 시험소 시험결과를 추가적으로 우리 인증기관의 인증 없이도 수용하겠다'는 한-EU FTA 조약 위반이거든요. 해당 직구금지 정책이 시행령으로 시행될 경우 상위 법과의 충돌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해당 정책은 법리적으로 무효화됩니다. 결과적으로 법적으로 해당 KC인증 외 직구금지 정책이 정당한 근거를 가지려면 1. 국민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문제가 있음을 입증해야하고 2. 한-EU FTA를 무효화, 백지화 혹은 갱신협약을 해야합니다. 아니면 개헌을 해서 헌법 제6조 제1항을 무효화시키던지요
  • 혹시 지금 "직구 금지"는 눈속임이고, "관세 민영화"가 진짜 노림수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아시는 분 계시면 널리널리 설명 부탁드립니다... "관세 민영화"는 전국민 한국 탈출해도 납득되는 레벨의 대국민 사기극이고, 이에 비하면 "직구 금지"는 귀여운 수준이라는 말이 있네요..
  • @user-jh5kq4hr2q
    이 댓글을 많은 분들이 보실려나 싶지만 써봅니다. 철회한다고 말장난치면서 중국 배대지 라는 곳에서는 이미 세관 공문이 내려왔다고합니다. 그냥 강향하려고 하는 거 같습니다. 여러분 국민신문고에서 국무조정실로 민원 넣어주세요...진짜 개판나게 생겼어요ㅠㅠ
  • @jaysbar4u
    2023년 12월 KC인증 민영화 발표 >>> 2024년 4월초 알리, 테무 어린이제품 발암물질 검출로 국민 공분 >>> 알리 테무등 해외직구 KC 인증 요구 >>> 결국 중국발 불량제품 차단하는 척 하면서 KC 민간 인증기관 돈방석
  • @zuzuru374
    해외인증을 인정하는가? x kc인증을 해외에서 인정하는가? x kc인증이 신뢰성이 있나? x kc인증 제품에 문제가 생겼을시 책임이 있는가? x 그냥 미친거임
  • @siss3990
   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역대 이런 대통령은 첨봅니다
  • @hannai1319
    개인간 국제택배/여행 다녀 온 뒤 기념품도 다 규제 대상이라고 합니다 ㅠ 헤드라인 장난질로 철회하는 척하지만 가이드라인 잡아 시행한다고 하네요. 잇섭님 새소식들로 새영상 또 만들어주세요
  • @AA-ij6xb
    KC인증 민영화와 시간대가 수상하게 맞아떨어지는 말도 안 되는 시행령 발표
  • KC인증기관이 당연히 공기업이겠지 했는데 민영화 되었다는 사실을 7:32 영상보고 첨 알았네요;;;;; 이거 완존 대놓고 KC민간 인증 기관 밀어준거 아닌가요?!;; 소름끼치네. 나라에 도둑놈들이 차고 넘치네요.
  • @worni5015
    또 민영화.... 하... 트위치도 작살내더니 이번엔 해외직구야 적당히좀 하자... 그냥 조용히 살아주면 좋겠는데 왜이리 나댈까 부끄럽게
  • @kakrich
    나이드신 분들이 얼마나 머리가 굳었는지 증명하는 사건이 아닌가 싶습니다. 나라를 위해야될 사람들이 자신의 안위만을 위하여 일하니 시야가 좁아질수 밖에요. 중책들은 나이제한 둬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8만~40만세로 몸도 마음도 열정적인 사람이 일하는게 낫지 않겠습니까? 연륜이 있어야 한다고요? 입으로똥싸는건 나이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.
  • @user-pou84fog94
    공산주의임? 뭐 이렇게 규제가 많아 개인의 자유를 이렇게 까지 침해하는 민주주의 나라가 또 있을까?
  • @user-vf4lr7sb4k
    KC인증 붙이면 인증기관에서 잘못된 인증에대한 책임지는것도 아닌게 어처구니 없음
  • @minsuoh6747
    아니 애초에 왜 해외직구를 많이 하는지 근본적인 물음은 생각도 않고 정책시행했다고 밖에 생각못하겠음 국내꺼 사라고? 국내꺼가 말도 안되게 바가지 쒸운게 많은데 아니 이건 정치를 떠나서 같은 물건이 있으면 그게 사기꾼이 아닌이상 당연히 더 싼데에서 사고싶은게 당연한거지 왜 굳이 비싼데에서 사야하는데 그렇게 해외직구보다 내수를 원했으면 내수자체의 경쟁력을 키우고 내수에서 바가지 씌우는 악덕상인들을 열나게 잡고 안정화했으면 했어도 직구가 우세하겠지만 사는 파이도 늘었을텐데 괜히 해결도 못할꺼 그지같이 건들여서 더 반발심만 들게 하고 그 와중에 대통령께 보고 안했다 하는 핑계도 안했어도 -> 지휘계통 개무시하고 멋대로 독단에 지멋대로 하는 체제 문제 했어도 -> 이런 상황을 생각못한 무능 정말 안전을 생각한거면 들어오는 물건에 대한 카드뮴 적발 이런부분 상품정보 개시 의무화 구매를 한 순간에 상품정보 명시를 했음에도 못한 부분은 소비자의 문제지 물론 명시라 해도(코딱지만하게 써놓고 했어요 하는건 뚝배기를 깨부숴야 할 새키고) 걍 다 필요없이 직구 안 써봤죠? 정부 관계자들 자꾸 이딴 병크 터트리면 세금으로 운영되는 온갖 혜택들 없애버려도 할 말 없는거야 직접 안해봣고 안 써봤으니까 이런 개뼈다귀같은 정책이 나오지
  • @user-ts4gb4lg9m
    진짜 자유를 얼마나 통제하려하나 해외에서는 화염병 들고 일어날 일인데 국민들이 너무 착하다
  • @user-bv6yb9eb7q
    이거 무조건 특검해야함. 어떻게 타이밍이 딱 KC인증 민영화하자마자 시행이냐... 진짜루 특검해라. 이거 백퍼 돈먹은놈 있다
  • @user-hb6gq3ky1q
    이번정부는 일단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면 협상,협의,원만한해결,대안 이딴거 필요없고 싹다 금지,해체,삭감,거부 이지랄하고 있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
  • @user-ul5jx1zy2z
    ㅈㄴ 공산당???? ㅡㅡㅡ진짜 이게나라냐 탄핵답
  • @Error_Error.
    핸드폰을 싸게 사? - 단통법 책을 싸게 사? - 도서정가제 물건을 싸게 사? - 직구 금지